|
||||||||||||||||||||||||||||||||||||||||||||||||||||||||||||||||||||||
글 수 163
조회 수 : 8564
2014.09.21 (08:54:51)
*아래 글은 2014년 9월 20일에 개최된 한국미술교육학회 제39차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입니다.
공감각적 체험으로 상상력을 확장하는 융합적 미술교육 방안
1. 공감각적 미술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근래에 와서 학제적 경계를 넘어 통섭적 창의성이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교육이 화두가 된 것은 리좀(rhizome)적 세계관에 근거한다. 리좀이란 유동적으로 접속되고 연결되는 네트워크에 의해 모든 것이 새롭게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쾌적하면서도 질 높은 삶의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조경(Landscape architecture)만 하더라도 기반시설, 건축, 문화적 표현, 생태체계, 디자인 등 서로 다른 영역의 경계를 넘어 도시의 장을 조직화하는 융·복합적 차원에서 만들어진다.(James Corner, 2014. p. 305) 융·복합적 사고를 가능케 하는 원천은 우리 몸의 감각이다. 감각이란 오감을 바탕으로 한 지각, 감정적 깊이 및 감성 등이 종합된 것이다. 우리의 미술교육은 주로 시각 중심의 기능적 표현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어 통합적 감각을 깨우고 키우는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감각을 키우고 상상력을 확장할 수 있는 공감각적이고도 융합적인 미술교육방안을 구안한 것이다.
2. 공감각 키우기를 통한 상상력 확장하기
1) 공감각을 통한 융합적, 창의적 사고 예술인류학을 주창한 나카자와 신이치에 의하면 인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서로 다른 영역을 횡단할 수 있는 ‘유동적인 마음’에 있다. 니체 이후 현대사상가들이나 사회생물학자들은 우리 자신의 감각이나 사고가 야생의 상태였다는 것과 인간을 포함한 종(種,Species)은 생물학적 본성 외에 그 어떠한 목표도 갖고 있지 않다고 본다. 이런 맥락에 현대의 주요 사상가들이나, 예술가들은 이 무의식 속에 잠재된 감각과 야생을 깨어나게 하는 공감각적이고 지성적인 활동을 ‘예술’로 본다. 공감각이란 말은 그리스어에 어근을 두고 있는데, 융합, 결합을 뜻하는 ‘syn’과 감각을 뜻하는 ‘aisthesis’가 합쳐진 말로 한꺼번에 느낀다, 혹은 감각의 융합을 의미한다. 질 들뢰즈에 의하면, 감각이란 쉬운 것, 이미 된 것, 상투적인 것의 반대일 뿐 아니라 ‘피상적으로 감각적인 것’이나 자발적인 것과도 반대이다. 감각은 현상학자들이 말하듯이 세상에 있음이다. 나는 감각 속에서 되고 감각 속에서 무엇인가 일어난다. 그려지는 것은 나의 신체이며 감각이다.(질 들뢰즈, 2008, p. 47) 또한 수많은 화가나 음악가와 같은 예술가, 여러 과학자들도 그들의 창조적 성과를 형성한 바탕이 공감각임을 밝히고 있다. 감성과 감각으로써 ‘판에 박힌 것들’에서 벗어나는 도전과 모험으로 새로운 세계를 연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를 일깨우는 감각적 능력이말로 창의성의 근본이며. 이런 차원에서 생각의 본질은 감각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다.
2) 촉각적-광학적 세계의 융합, 공감각적 활동 ‘본다는 것’은 ‘보고 느낀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보고 느낀다는 것.’은 시각을 넘어서 모든 감각의 반응을 종합하여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전국미술교과모임·문화연대, 2008). p.61) 세잔의 그림을 눈으로 만지는 회화라고 한다. 색채의 변조를 통해 눈으로 만지는 촉각적 세계를 그려내었기 때문이다. 또한 세잔의 그림은 내부에 풍경의 냄새를 품고 있다는 말이 있는데, 실제로 그의 그림을 자세히 보면 실감할 수 있다.(로버트 루트번스타인, 2007. p. 399) 반 고흐는 건물의 평범한 벽을 무한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색으로 표현하였다. 외적 대상과 자신의 심리적 내면을 요동치는 선으로 융합한 것이다. ‘생각의 탄생’을 쓴 저자에 의하면, 감수성이 풍부한 사람들은 시각과 소리, 그 밖의 다른 모든 감각들이 서로 뒤섞인다. 이런 차원에서 ‘음악을 들으며 손가락으로 점을 찍으며 그리기’와 같은 공감각적 교과융합 수업은 교육활동의 과정 속에서 표현의 즐거움을 향유하면서도 감각을 자극하고 오감을 확장하는 훌륭한 방식이 될 수 있다. (조슈아나무 미술교육연구소, 2013). pp. 14~19) 감각의 지평을 넓히고 상상력을 확장하는 융합적 교육은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지원 역량에 따라 아날로그적 활동을 통해서도 큰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도구인 돋보기, 색지와 핀 볼펜만 준비해도 새로운 창의적 표현이 가능하다.
3. 공감각과 상상력 확장을 위한 교사의 역할
‘생각의 탄생’ 공동 저자인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셀 루트번스타인은 나보토프와 라이트 힐의 말을 빌려 모두 공감각은 사물을 한가지의 지각양식으로 받아들이는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에서의 경험과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열쇠와 같다고 말하고 있다. 공감각적 융합능력은 수많은 근현대과학자, 예술가들의 삶이 입증하듯 창의성의 원천이다. 이 때문에 촉각으로 관찰하고, 그림을 ‘듣고’ 음악을 ‘보는’ 융합적 미술교육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자유로운 실험이나 실수가 허용되어야 한다. 상상력의 확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도전적인 일이다.(Shaun Mcniff, 1998). p. 4) 그러므로 교사는 학습자에게 감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고와 발견, 상상력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살고 싶은 나라 만들기’와 같은 교과 융합적 활동은 모둠별 수업 같은 협력적 과정을 통해 감각의 융합과 상상력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화 디지털 시대의 교육은 지식과 정보 그 자체의 습득을 목적하기보다 그것을 융합적으로 가공하고 새롭게 디자인하는 바탕인 감각 키우기와 상상력의 확장이 중요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미술, 또는 예술교육의 핵심은 어떻게 감각을 키우고 상상력을 확장하는가의 문제이다. 따라서 교사는 무엇보다 교육의 과정 속에서 학습자의 감각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교육활동 과정에서 교사는 감각을 키우기 위한 새로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4. 결론 및 제언
미술 교과는 공감각적 체험의 확장을 통해 경계를 넘어선 상상력의 폭이라든가 다양한 변수가 융·복합적으로 개입하는 과정에 따라 통합적 창의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과이다. 따라서 공감각적인 자극과 체험으로부터 상상력을 확장할 수 있는 미술교육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바우하우스의 이념을 세우고 현대디자인 탄생에 지대한 역할을 한 그로피우스의 다음의 말은 우리가 나아가야 할 융합적 미술교육의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대생활과 교육에 남겨진 과제는 시와 물리학, 미술과 화학, 음악과 생물학, 무용과 사회학, 그리고 기타 가능한 모든 미학적 지식과 분석적 지식을 재통합해서 사람이 알고자 하는 것을 느끼게 하고, 느끼고자 하는 것을 알도록 하는 것이다.’(로버트 루트번스타인, 2007. p. 410)
【 참 고 문 헌 】
로버트 루트번스타인·미셀 루트번스타인 지음/박종성 옮김(2007). 『생각의 탄생』. 서울 : 에코의 서재 질 들뢰즈/하태환 옮김(2008).『감각의 논리』. 서울: 민음사. 조슈아나무 미술교육연구소(2013). 『미술로 몸과 마음의 힘을 키우는 조슈아나무 《씨앗심기》』. 서울: ICAS. 나카자와 신이치(2009). 『나카자와 신이치의 예술인류학』. 서울: 동아시아. 전국미술교과모임·문화연대 지음(2008),『시각문화교육 관점에서 쓴 미술교과서』. 서울: 휴머니스트 장용수 옮김(2010).『현대건축과 철학적 모험』. 서울: 미메시스. Shaun Mcniff(1998). 『Trust the Process』, Boston: Shambhala. James Corner(2014). 『The Landscape Imagination』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江澤健一郞(2003). 『バ タイユ』. 河出書房新書 065
http://www.sonahmoo.com/1280300
(*.154.53.15)
|
||||||||||||||||||||||||||||||||||||||||||||||||||||||||||||||||||||||
17598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이박골길 75-33 | Tel. 031-673-0904 | Fax. 03030-673-0905 | Email: sonahmoo@hanmail.net Copyright ⓒ 2002- Alternative Art Space Sonahmoo all right reserved. |
||||||||||||||||||||||||||||||||||||||||||||||||||||||||||||||||||||||